• 고기압의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은 올바른 작업시간과 작업방법 및 인체에 미치는 건강장해에 대해 알아야 하며 이로 인한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보건교육 외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험한 작업에 필요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용접 작업 시 근로자들은 가스 및 화재 등의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.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접작업의 올바른 방법과 유해성 및 건강을 보호하는 방법을 교육받으며 직무와 역할을 숙지하고 이를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밀폐되거나 습한 공간에서 용접 작업 시에는 질식에 대한 위험이 큽니다.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공간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이에 따른 용접작업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위험물이란 대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 등과 쉽게 반응하면서 화재 및 폭발을 유발시키는 물질로 산업현장에서 위험물질을 다루는 근로자들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험물의 올바른 취급 방법과 대응대책을 교육받아야 하며 이를 숙지하기 위해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액화석유가스와 수소가스의 성질과 가스 안전검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안전하게 취급하는 방법에 대해 근로자들은 교육받으며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산업현장에서 계측장치를 수행하는 근로자들은 올바른 유량 계측장치 및 압력 계측장치의 선정 및 취급방법과 세척액의 유해성, 올바른 세척방법을 교육받고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험한 작업에 필요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화학설비 탱크 내 작업 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근로자들은 올바른 작업방법과 작업순서에 대해 교육받으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밀폐공간인 저장탱크 내부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들은 분말 및 원재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위험 및 안전에 대해 알고 이로 인한 건강장해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보건교육 외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위험한 작업에 필요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열기가 가득한 가열 및 건조 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들에게는 언제, 어디서든 위험이 있습니다. 그리하여 해당 작업 근로자들은 설비의 방호장치와 작업 시 안전방법 및 건강장해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받고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추가로 수행하여야 합니다.
• 산업현장에서 프레스로 인한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로자는 프레스 작업 시 안전작업방법과 위험성에 관한 교육을 받으며 위험한 작업에 필요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을 수행하여야 합니다.
학습 또는 오류 관련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가요?
전문상담원을 통한 보다 상세한 상담을 원하시나요?
고객센터
02-557-8724
운영시간 : 평일 09:00 ~ 18:00 (주말, 공휴일 제외) 점심시간 : 12:00 ~ 13:00
상담원이 직접 수강생 여러분의 PC를 원격지원 해드리는 서비스입니다.